2018년 말 서울인구 약 1,005만 명… '고령사회' 첫 진입
상태바
2018년 말 서울인구 약 1,005만 명… '고령사회' 첫 진입
  • 김경남 기자
  • 승인 2019.09.17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인구통계와 시민설문 토대로 서울의 인구변화가 시민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서울시 조사 결과 2018년 말 서울시 전체인구는 1,004만9,607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65세 이상 인구가 14.4%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지난 2005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18년 말 ‘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이와 같은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 전체인구와 서울시 등록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인 반면, 서울 거주 외국인은 '95년 4만5천여 명에서 '18년 28만4천여 명으로 23년 만에 6배 이상 증가했다.

또, 서울시는 최근 3년 간 서울시 순전출 인구가 평균 8만 명 이상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올해 말~내년 상반기 서울시 등록인구가 1천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총인구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총인구는 각각 2028년, 2032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시도편

이렇게 꾸준히 감소 추세인 서울시 인구변화에 대해 서울시민 39.6%는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은 37.9%, “긍정적”은 22.5%이었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과 ‘주거’,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와 ‘복지’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서울시 인구변화 추이와 함께 인구변화가 서울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 분석 결과를 이와 같이 발표했다.

서울시는 작년 말 ‘고령사회’에 첫 진입한 가운데 생산 가능 연령층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령인구 증가와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 인구의 자연증가는 지속 감소 추세다. 출생자 수는 급격하게 감소 중인데 비해 사망자 수는 소폭 증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시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18년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 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 명이었다. 순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 서울시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이었다.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의 인구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물은 결과 “영향없다” 39.6%, “부정적” 37.9%, “긍정적” 22.5% 순으로 응답했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 주거, 교통, 교육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사회, 복지, 국방, 경제 분야는 인구감소가 지속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됐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조사·분석결과 같이 시민들의 실생활과 관련한 주제와 이슈를 선정하고 시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적·객관적 통계분석 결과를 올 연말까지 매월 공개할 예정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이번 조사·분석결과를 보면 2018년 말 서울시가 고령사회에 첫 진입했고, 올해 말~내년 초 서울시 인구가 1천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와 같이 급격한 인구변화에 따라 행정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다 면밀한 분석을 통해 관련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